알렉스 캘리니코스 논평:
보수당의 ‘퍼 주기’ 비난은 노동당 집권 시 장애물을 미리 보여 준다
번역
김종환
12월 12일 조기 총선을 앞둔 영국에서는 11월 6일부터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됐다. 알렉스 캘리니코스가 이에 대해 논평한다. 알렉스 캘리니코스는 런던대학교 킹스칼리지 유럽학 교수이자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중앙위원장이다.
[영국] 총선 때마다 보수당은 언제나 노동당을 “무책임한 퍼 주기” 정당이라고 비난한다. 1992년 총선이 대표적인데, 당시 [보수당 대표] 존 메이저 선본은 “노동당의 세금 폭탄”을 운운한 데 이어 “노동당의 이중 청구서 ― ①더 많은 세금, ②더 비싼 물가”를 말했다.
그런 만큼 보수당이 지난 주말에 발표한 문건 〈노동당 집권으로 치르게 될 실제 비용〉에서 [노동당 대표] 제러미 코빈이 총리가 되면 공공부문 지출 증가 폭이 향후 5년 동안 1조 파운드[1500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한 것은 별로 놀랄 일이 못 된다. 노동당의 예비내각 재무장관 존 맥도넬은 “보수당이 터무니없는 가짜 뉴스를 퍼뜨린다”고 즉각 반박했는데, 정당한 대응이다.

여기까지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1992년에는 보수당이 비슷한 공격으로 당시 닐 키녹이 이끌던 노동당을 수세로 몰았는데 이번에는 오히려 노동당이 공공 지출 논의를 주도한다는 것이다.
11월 7일 존 맥도넬은 노동당이 집권하면 향후 10년 동안 4000억 파운드[600조 원]를 차입해 “국가 변화 기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7년 총선 때(2500억 파운드)보다 더 많아진 것이다. 이 국가 변화 기금 중 1500억 파운드는 사회 변화 기금으로 교육·보건·요양원·공공주택을 개선할 것이고, [나머지] 2500억 파운드는 녹색 변화 기금으로 에너지와 교통 인프라를 향상시키겠다고 했다. 노동당은 203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 경제에 도달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그는 이런 투자를 통해 “권력과 부의 균형추를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바꿔, 일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하도록” 만들겠다고 했다. 이 표현은 노동당 좌파의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했던 1974년에 토니 벤이 작성을 주도한 노동당 선거 강령[대안 경제 전략]에서 따온 것이다.
보수당 정부의 재무장관 사지드 자비드는 노동당 정책을 “공상적 경제학”이라고 비난했지만, 정작 그 자신도 정부가 한 해에 220억 파운드까지 공공부문에 투자할 수 있도록 재정준칙을 완화한 바 있다. 한 싱크탱크는 노동당과 보수당의 공약대로 하면 양당 모두 공공부문 지출을 GDP 대비 42퍼센트 수준으로 높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는 신자유주의가 대세가 되기 전인 1966~1984년 수준이다.
공공지출에 관한 정치인들의 어조가 왜 이토록 극적으로 변한 걸까? 물론 정치인들이 선거철에 하늘의 별도 따다 줄 것처럼 말하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여기에는 그 이상의 것이 있다. 신자유주의의 주요 목적 중에는 정치인들을 훈육하는 것도 있었다. 1992년 총선에서 닐 키녹이 패배하자 [이후 노동당 대표와 총리가 되는] 토니 블레어와 고든 브라운은 앞으로는 “세금 왕창 걷고 펑펑 써 대는 정책”에서 손 떼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염증
지금의 변화에는 두 가지 심원한 요인이 작동하고 있다. 첫째, 긴축에 대한 대중의 염증이 광범하다. [현 보수당 총리] 보리스 존슨과 그의 책사 도미닉 커밍스는 2017년 총선 당시 코빈이 그런 정서를 잘 대변해 성공했다는 것을 안다. 지금 커밍스는 자비드에게 화가 났다고 하는데, 자비드의 재정준칙이 재정 적자를 3년 이상 지속할 수 없도록 해서 보수당 정부의 감세 조처나 지출 확대 능력을 제약했다는 것이다.
둘째, 더 큰 그림은 주요 경제들이 정체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국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올리려 갖은 애를 쓰지만 금리는 10년 전 금융 위기로 최저점으로 떨어진 이후 좀처럼 오르지 못하고 있다. 이 말인 즉슨 공공부문 투자를 위한 돈을 저렴하게 빌릴 수 있고 그 돈이 경제 성장을 자극할 수 있다는 뜻이다. 긴축을 금과옥조처럼 여기는 유로존의 지배자들도 대규모 차입과 지출을 하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예컨대, 그 돈으로 독일의 노후 인프라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노동당의 공약은 공상이 아니라 상식에 가까워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노동당이 실제 집권했을 때 만사형통일 것이라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보수당 정부 안에서도] 총리실의 정부 지출 확대 압력에 재무장관이 저항하는 데서 볼 수 있듯 지배계급의 상당 부분은 옛 신자유주의 교리에 여전히 목매고 있다. 국제적 수준에서도 마찬가지다. 지난주에 신용평가 기업 무디스, 채권계의 큰손 핌코는 영국 금융권에 대놓고 경고했다.
만약 노동당이 총선에서 이긴다면, 이런 불평은 갈수록 더 커질 것이다. 금융 시장에서는 언제나 보수당의 기동 여지가 노동당보다 더 넓다. [영국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벌써부터 대기업들에게 그저 하드 브렉시트*를 막아 줄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노동당 정부를 환영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제로 집권하게 될 경우, 코빈과 맥도넬은 상식 이상의 것을 갖춰야 자신들 앞에 놓인 폭풍을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