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표:
한눈에 보는 서방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탄압 100년

1917년: 제1차세계대전(1914~1918년) 중 영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는 팔레스타인인들에게 독립을 약속하며 반란을 고무했다. 그러나 1917년 말, 영국은 시온주의자들에게 팔레스타인에 시온주의 국가를 건설하도록 돕겠다고도 약속했다(밸푸어 선언).
1939~1945년: 제2차세계대전 기간에 많은 유럽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이주를 택했다. 원래 유대인들이 가장 선호한 목적지는 미국이었지만 시온주의자들의 강요와 서방 국가들의 공모 속에 중동으로 간 것이다.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 영토의 55퍼센트를 유대인 몫으로 인정한다는 분할안을 발표했다. 당시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인구는 전체의 3분의 1이었다.
1948년: 유엔 분할안과 서방의 후원에 고무된 시온주의 민병대가 팔레스타인인 수만 명을 학살하며 분할안보다 더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이스라엘을 건국했다. 팔레스타인인 75만 명이 고향에서 쫓겨났다. 이 와중에 요르단과 이집트는 팔레스타인 일부 영토를 점령했다. 예루살렘은 동서로 나뉘어 동예루살렘은 요르단, 서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이 차지했다.
1959년: 아랍 민족주의 성향의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인 ‘파타’가 결성됐다. 파타는 1960~1970년대 팔레스타인 저항을 이끈 주요 그룹이었다.
1967년: 이스라엘이 이집트·시리아·요르단을 상대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이로써 이집트 시나이 반도, 시리아 골란 고원, 동예루살렘 등 나머지 팔레스타인 영토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요르단강 서안 지역에 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이스라엘의 가혹한 통치 아래 놓이게 됐다. 이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중동 지역 패권을 지키는 데 자신이 유용함을 서방 제국주의에 각인시켰다.
1978년: 미국의 중재로 이집트는 이스라엘과 평화협정을 맺고 친미 국가로 돌아섰다(캠프 데이비드 협정). 이스라엘 국가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아랍 국가들의 합의가 깨졌다.
1982년: 이스라엘 군대는 당시 침공 중이던 레바논에서 약 36시간 동안 팔레스타인 난민 수천 명을 학살했다(사브라·샤틸라 난민촌 학살).
1987년: 팔레스타인에서 이스라엘에 저항하는 민중 항쟁이 터졌다(1차 인티파다). 이집트, 터키, 쿠웨이트, 시리아, 튀니지 등지에서 현지 지배자들에 대한 불만과 결합돼 연대 시위가 확산됐다. 그러나 파타(팔레스타인 민족해방운동)는 아랍 지배자들을 우군으로 추켜세우며 운동이 지배자들을 위협하는 것을 단속했다. 이때 이슬람주의를 따르는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인 ‘하마스’가 결성돼, 주요한 팔레스타인 저항 세력으로 부상했다.
1993년: 미국의 개입으로 파타는 이스라엘을 인정하는 대신 이스라엘의 점령 아래 자치 정부를 꾸리기로 합의했다(오슬로 협정).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세워졌지만,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은 사실상 포기해야 했고 동예루살렘 지위 문제는 추후 논의로 미뤄졌다.
1995년: 미국 의회가 주 이스라엘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는 법을 통과시켰다. 예루살렘 전역이 모두 이스라엘의 수도라고 선언한 것인데, 미국 정부는 대사관 이전은 계속 미뤘다.
2000년: 오슬로 협정 이후에도 계속되는 이스라엘의 영토 확장과 이를 사실상 옹호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대한 분노가 폭발해 팔레스타인에서 2차 인티파다가 발생했다.
2006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선거에서 하마스가 승리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세가 강한 가자 지구를 봉쇄했다. 그리고 또 다른 이슬람주의 단체 헤즈볼라를 격퇴하고자 레바논을 침공했으나 실패했다.
2007년: 미국과 이스라엘은 하마스를 제거하려고 파타의 쿠데타를 사주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가자 지구는 하마스가, 서안지역은 파타가 지배하게 됐다.
2009년: 이스라엘이 하마스 격멸을 내걸고 가자 지구를 침공하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곧 퇴각했다.
2010~2011년: 아랍 혁명으로 미국과 이스라엘의 핵심 우방이었던 무바라크가 이집트에서 쫓겨났다.
2012년: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 폭격에 나서지만 혁명적 민심을 우려한 미국과 주변국 지배자들의 만류 속에 8일 만에 꼬리를 내렸다.
2014년: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를 또 폭격했다. 아랍 혁명의 퇴조 속에 이스라엘은 50일 넘게 가자 지구를 마음껏 유린했지만 하마스를 뿌리뽑지는 못했다.
2017년 10월: 하마스, 10년 만에 가자 지구를 파타에 넘기겠다는 데 동의했다.
2017년 12월: 미국 트럼프 정부가 ‘예루살렘은 이스라엘 수도’라고 선언하며 주 이스라엘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겠다고 발표했다.